전체 글 (3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책이 나왔소. '한약 기원 정리집(KP9/CP2005 비교)'이라는 표제로 책이 나왔소. 뭔가 그럴싸한 저서라기보다는 대한약전과 중화인민공화국약전의 한약(생약) 정의 부분만 모아서 비교해 놓은 편집물 되겠소. 한국학술정보의 무료출판제도를 이용하니 출판비용이 안 들어서 좋소만, 대신 단가가 좀 세게 책정되어서(146p 짜리 주제에 무려 1만원!) 압박이오(살 사람도 없을 것으로 사료되오만;). 구성은 위와 같은 형태의 본문과 약명 색인, 일반명 색인, 학명 색인, 생약명 색인, 과별 색인으로 이루어져 있소. 특성상 갖가지 색인을 죄다 넣었더니, 색인만 무려 60쪽 남짓 되오. (그렇다면 본문은 80쪽 남짓 밖에 안 된다는.. 호호호) 혹시 관심 가는 햏자들이 있거들랑.. 언젠가 도서 사이트 등지에 검색이 될 것이니 찾아.. 티스토리로 이전 왠지 갑작스레 심심해져서, 티스토리로 이전하였소. 또 한동안 방문객이 뜸해질 듯..; 도메인 포워딩 등의 문제로 잠시 접속이 오락가락 할 수 있으니 양해들 바라오. 한약 먹으면 간이 나빠진다? 2. R.Lewis 햏이 일전의 포스트(2008/01/15 - 한약 먹으면 간이 나빠진다?)에 대한 일부 의학 전공자들의 견해를 전해 주었기에 추가로 자료를 제시하는 바이오. 예로부터 온라인 토론의 양상을 볼작시면, 대다수 논자들이 단순 경험과 추측에 근거하여 썰을 푸는 것을 볼 수 있었소. 소햏 99년도부터 이전투구 양상의 온라인 토론을 즐겼던 바, 이런 상황이 현재까지도 별로 나아지지 않는 것 또한 느낄 수 있소(이 역시 단순 경험에 근거한 것이로구료.. 호호호) 0. 먼저, 용어상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이른바 한의사의 처방으로 복용한 한약과 환자 임의로 복용한 각종 건강식품 및 이런저런 민간요법을 합쳐서 '한건민'이라 통칭하겠소. 좀 유치하지만 양해를 바라오. 1. 일단 양약의 처방빈도가 한약에 비해 .. 한약 먹으면 간이 나빠진다? 요즘 모종의 드라마 덕에 한약과 간손상의 관계에 대한 갑론을박이 다채롭게 펼쳐지고 있는 것 같소. 길게 쓰는 것은 피곤하니, 간단히 반증하오. 위의 자료는 '간'에 관한한 국내 최고의 권위를 갖고 있는 대한간학회의 학술발표 자료 되겠소. 이에 의하면 '놀랍게도' 성인에서 발생하는 급성 간손상의 원인 중 약 10%가 한약재를 비롯한 각종 식물 제제에 의한다고 하오. 그런데, 표 1에 의하면 '놀랍게도' 양약(Drugs)으로 인한 경우도 15.9%나 되오. 그리고 표 2에 근거하면 '각종 식물 제제(Herbs)'에서 한약재(아마도 한의사의 처방이었을)는 24건이므로 전체대비 비율로 따지면 5.5% 되겠소. 그렇다면 급성 간손상의 원인으로써 양약이 한약보다 3배나 위험하다는 계산이 나오지 않소? 약은 양약이든.. 2008년이 되었소 2004년 1월 1일의 그림일기. (정말 왠지 올해는 그림일기를 다시 그려보고 싶구료..) 2008년. 이런 SF스러운 숫자가 이제 일상이 되어버린 것이오. 이제 조만간 자동차가 날아다니고, 화성 배낭여행 쯤이 실현되지 않을까 싶소. 2007년을 돌아보며.. 여기저기 너도나도 10대뉴스 운운하기에, 소햏도 2007년의 주요 햏적을 돌아보고자 하오. 1. 취업 : 나름 고액연봉(?)에 안정적(?)이기까지 한 좋은 직장에 취업. 2. 군사훈련 : 2년 꽉 채우는 친구들에겐 미안하지만, 4주 훈련으로 군생활 대략 마감. 3. 혼자 영화관 가기 20회 돌파 : 외출형 외톨이랄까.. 4. 혼자 노래방 가기 40회 돌파 5. 3년 연속 크리스마스 혼자 보내기 성공 6. 학위취득 : 석사학위 취득. 7. 가계 송금 개시 : 드디어 장남 노릇 하기 시작. 8. 4년 연속 고구마 활동 : 이동원, 손삼학에 이은 장준경까지 성공. 내년에도 가능할까나.. 9. 3년만에 기숙사 생활 재개 : 통산 9년째 기숙사 인생. 10. 저서 2편 출판 : 단독저작은 아니지만, 어쨌든 저서... 소감 한 말씀 기분이 뭐랄까.. 일본과의 국가대표 축구경기에서 0:5로 졌을 때의 기분이랄까. 후훗. 아인슈타인 메모꽂이 모처에서 소개한 것을 보고 지르고자 할 배 이셔도 무시로 품절되는 고로 지르지 못할 노미 하다가 마참내 지르고야 만 아인슈타인 메모꽂이; 가만히 두면 그럴싸한 생김새로써 연구직 종사자들의 데스크 악세사리로 가히 손색이 없다 하겠소. 허나.. 결국은 이러한 쓰임새로 전락하는 것이 원래의 용도라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되는 바이오. 다소 비싸기는 하오만, 책상 위를 너무나 즐겁게 해 주는 아이템 되겠소. 움짤 추가. (구입문의는 여기로..)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