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뭐라 뭐라148

한약재 감별과 응용 (2) 독활 오늘은 독활 되겠소. 우리나라에서만 연간 1,400톤 가까이 생산되는 다빈도 약재이지만, 강활과 마찬가지로 문제가 많은 약재라오. 우리나라와 북한에서는 두릅나무과 식물인 땃두릅(Aralia continentalis Kitag.)의 뿌리를,일본에서는 거의 비슷한 식물인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의 뿌리줄기를,중국, 대만, 홍콩에서는 산형과 식물인 중치당귀(중치모당귀重齒毛當歸. Angelica biserrata (R.H.Shan & C.Q.Yuan) C.Q.Yuan & R.H.Shan)의 뿌리를 각각 독활의 정품으로 규정하고 있소.한편 일본 생약규격집에서는 중치당귀를 '당독활(唐独活)', 땅두릅을 '화강활(和羌活)'이라는 명칭으로 수재하고 있소. 우리나라에서는 땃두릅의 식물명을 '독활'.. 2015. 8. 25.
한약재 감별과 응용 (1) 강활 요새 '한약재 감별과 응용'이라는 주제로 모 카페에 연재를 하고 있소만, 어느 정도 텀을 두고 약간 고쳐서 본 블로그에도 이렇게 올리고자 하오. 이 시리즈는 임상 한의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소. 임상가들에게 강의할 때면, 약재는 전부 규격품으로 제약회사에서 나오는데 왜 임상가들이 직접 감별까지 해야 하느냐 하는 말씀이 많았소만, '법적인 정품'과 임상적·학술적 정품이 서로 다른 경우도 있고, 규격품이라도 현재 유통상 문제 있는 것(오용품 혼입품 유사품 저질품 위품)이 꽤나 많기 때문에, 임상가가 약재를 직접 확인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이오. 오늘은 먼저, 강활이오.국내에서만도 연간 3백톤 가까이 생산되고 사용량도 많은 약재이지만, 많은 문제를 갖고 있는 약재이기도 하오. 우리나라 약전에서는 강활의 기원을.. 2015. 6. 17.
비밀번호를 자주 바꿉시돠~ 블로그 관리를 소홀히 하였더니 어떤 해커가 왕림하사 본 블로그를 요망한 악성 사이트로 자동 연결되게 변조하였던 바 블로그 접근 제한 조치까지 취해지도록 그 사실을 알지도 못하고 있었던지라 황급히 온갖 조처를 다 시행한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일 간만에 로그인 기록을 확인해보니 또다시 소햏이 아닌 누군가가 접속을 시도하여 심지어 성공까지 하였음을 목도함에 급히 비밀번호를 다시 변경하였소. 블로그에 들어있는 컨텐츠도 엄연히 재산이니, 자기 재산을 소중히 여기는 자본주의 사회의 미덕을 충실히 지켜, 비밀번호를 자주 바꾸는 것이 바람직한 처사라 하겠소. https://howsecureismypassword.net/ 위 사이트에서는 내 비밀번호가 과연 얼마나 까부수기에 까다로운지를 즉석에서 알려주고 있으므로, 이.. 2015. 6. 9.
파키스탄 마황의 기원종이 무엇일지 마황은 국내에서 전혀 생산되지 않으므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소.예전에는 중국에서 전량 수입했으나, 요새는 중국산 마황의 수급이 어려워져(가격 상승 및 수출 제한),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수입량이 늘고 있다고 하오.항간에는 파키스탄 마황이 중국산 마황에 비해 에페드린류 함량이 2~3배 높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오. 궁금한 것은, 과연 파키스탄 마황의 기원종이 우리 약전에서 규정하고 있는 마황의 기원에 적합한지인데.. 일단 파키스탄에 분포하는 마황속(Ephedra) 식물은 모두 9종이오(Flora of Pakistan).E. ciliata, E. regeliana, E. gerardiana, E. przewalskyi, E. procera, E. sarcocarpa, E. pachyclada, E. monos.. 2014. 5. 1.
'자리끼'를 영어로 하면? 먼저 '자리끼'란? - 밤에 자다가 마시기 위하여 잠자리의 머리맡에 준비하여 두는 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한영사전에서는 이를 영어로 다음과 같이 하였소만, - nighttime drinking water (금성출판사 다음영어사전) 모 음료회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번역하였소. 한국어 설명 영어 설명 즉, eye-opener in the morning. 국어 뜻에는 'nighttime drinking water'가 더 가깝겠소만, 'eye-opener in the morning'이라는 표현도 센스있구료. (소햏이 영어에 대해 왈가왈부할 처지는 아니오만..) 2012. 7. 20.
사과껍질을 먹으면 근육이 커진다? 관련 뉴스 : 사과 껍질 째 먹으면 ‘몸짱’돼요 요약하자면, 사과 껍질에 들어 있는 우르솔산(ursolic acid)을 투여하였더니 지방은 그대로인데 근육량이 늘어났다는 연구결과인데, 말미에 "애덤스 박사는 '우르솔산이 있는 사과 껍질을 매일 먹으면 의사를 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라는 다소 수상쩍은 언급이 있소. 간편한 것만을 찾는 소햏, '아하, 우르솔산을 그냥 사서 먹으면 운동 안해도 근육이 생기겠구나!'라는 안일한 생각을 갖고, 먼저 복용량을 얼마로 해야 할지 확인하였소. 해당 논문을 찾아 본 결과, 하루에 200mg/kg, 즉 체중 1kg당 200mg의 우르솔산을 투여(심지어 복강주사!)하였다고 하오. 체중 60kg이라면 하루에 12g의 우르솔산이 필요하다는 것이오. 물론 동물과 사람의 몸이.. 2011. 6. 17.
'Apoptosis'의 발음에 대하여 세포자멸사라는 의미로 쓰이는 apoptosis라는 단어가 있소. 생물학-의학 분야에서 흔히 쓰이는 이 고풍스런 전문용어는 그리스어의 'apo-' + 'ptosis'로 이루어진 합성어 되겠소. 'apo-'는 영어의 from, off, without 등에 해당하고, ptosis는 '떨어진다'는 뜻으로, apoptosis는 '(저절로) 떨어져 나감'을 의미하오. 예컨대 낙엽이 우수수 떨어지는 것이 이에 해당하오. 낙엽이 떨어지는 것은 누가 쥐어뜯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잎과 가지의 경계면에 있는 세포들이 스스로 죽어서 떨어지는 것이므로, 이것이 의미확장되어 세포자멸사를 뜻하게 되었... 각설하고. 그런데, 우리나라 생물학-의학 분야 종사자 십중팔구는 apoptosis를 [에이팝토시스]라 읽고 있소. 이것이 매.. 2011. 3. 15.
기자들은 각성하라. 인포그래픽 레이어처리 불량 사례 관련 기사 : 한반도 낙진 가능성 희박…원전 추가폭발 여부가 관건 내용은 차치하고, 위 기사에 나온 인포그래픽(삽화)에 다소 하자가 있어 지적하는 바이오. 위와 같이 군데군데 글씨나 그림이 지워진듯한 부분이 있소. 이는 그래픽 제작 중 레이어나 마스크의 처리를 소홀히 한 탓인데, 이렇게 눈에 뻔히 보이는 것을 제대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마감한 것은 대체.. 2011. 3. 14.
도로명 새 주소 유감 주소체계를 선진화(?)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별 할 말이 없소만, 소햏 기거하는 곳의 주소가 난해하게 바뀌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 불만이 없지 않소. 홍보할 때에는 분명, 그림 : 행정안전부 새주소 안내 집집마다 위와 같이 '무슨길 몇번'으로 시크한 주소가 되는 것처럼 떠들어대었소만, 소햏의 집에 붙은 명판을 보니.. 뭐.. 길 이름부터가! 기존 주소는 "대전 서구 탄방동 1337" 이렇게만 하면 땡인데, "대전 서구 유등로669번길 28-15"라니.. 숫자만 해도 3개가 늘었.. 큰길가 큰건물에 사는 사람들은 좋겠지만, 자잘한 골목길에는 적당치 않은 주소체계라 사료되는 바이오. 그런데.. 도로명 주소로 바꾼다고 '연간 4.3조원'의 사회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행정안전부)는 것은 아무래도 자뻑정신이 아닌가 .. 2011. 2. 16.
부적절한 'ㅇ' 관련 기사 : 김정일위원장 "백두산 화산폭발 대책 세워라" 위 기사중, 편서풍이겠지. 중딩도 다 아는 걸 이리 틀린다는 것은.. 아마도 기자가 평소에 문자 쓰면서 "식사는 하셨나용~" 이런 식으로 'ㅇ'을 붙이는 버릇이 들어서 그런 게 아닐까 사료되는 바이옹. 2011. 1. 26.
쯔무라 과립제에 대한 오해 많은 한의사들이 국산 과립제의 효능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면서 일본 쯔무라(Tsumura http://www.tsumura.co.jp)에서 나오는 과립제를 찬양하곤 하오. 쯔무라 과립제의 품질이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일체의 부형제가 없다'는 식으로 잘못된 내용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바로잡고자 하오. 의문 : 쯔무라 과립제에는 첨가제가 없는가? 과립제에 쓸 수 있는 첨가제로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교미제, 방향제, 착색제 및 코팅제가 있으며, 한약제제에서 쓰이는 대표적인 부형제로는 유당과 전분(감자/밀/쌀/옥수수전분)이 있소. 추출물의 특성에 따라서 부형제 한 가지만 쓸 때도 있고 다른 첨가제 몇 가지를 적절히 섞어서 사용할 때도 있소. 부형제가 없는 과립제를 '백산제'라고 부르기도 하오만, 국내 .. 2011. 1. 25.
부적절한 '-의' 관련 기사 : '건보 보장률 62%' 통계… 알고보니 주먹구구 위의 기사 중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소. '1.2%의 정도는...'이라니. 이런 게 눈에 밟히면 어디선가 짜깁기했다는 느낌이 들어 기사의 질이 확 떨어지게 마련이오. 제발 기자들은 자기가 쓴 기사를 다시 한 번 읽어보고 나서 송고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며, 아울러 편집자들도 알바생이라도 써서 퇴고를 해주면 좋겠소. 2011. 1. 19.